객체지향 설계 2

오브젝트: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2장을 읽으며

오브젝트: 코드로 이해하는 객체지향 설계 2장을 읽으며 느낀점최근들어서 대규모 시스템 설계에서 합성의 중요성을 깊게 느끼고 있음. 경험에 의해서 상속은 부모 클래스가 비대해지고 확장성이 떨어지는 것 때문에 상속 자체를 꺼리고 있었는데, 객체 간 결합도를 높여 시스템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든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음.합성을 통해 각 객체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, 그리고 이렇게 설계했을 때 시스템이 얼마나 유연하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지를 다시 느낌. 설계에 근거를 점점 더 갖추게 되는 2장! 협력, 객체, 클래스객체지향은 객체를 지향하는 것이지, 클래스(class)를 결정한 후 어떤 어떤 속성과 메소드가 필요한 지 결정하느 는 것과는 거리가 멂.진정한 객체지..

오브젝트: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1장을 읽으며

오브젝트: 코드로 이해하는 객체지향 설계 1장을 읽으며 느낀점코드 설계와 수정 과정에서 UML 다이어그램을 함께 제시해 준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었음. 코드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면서 수정이 필요한 지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고, 이를 통해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 원칙들을 보다 깊이 있게 체득할 수 있었음.특히, 처음 설계한 코드에서 필요한 수정 사항을 어떻게 반영하면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가 많아 코드 품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를 개선하는 부분에 도움이 많이 됨 도입부지만 확실히 한층 더 성장하는 것 같아서 완전 추천. 변경에 취약한 코드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내부에 대해 더 많이 알수록 의존성이 깊어짐.의존성은 변경에 대한 영향을 암시의존성은 완전히 없애는 것이 정답은 아님. 불필요한 의존성..